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려면 192.168.0.1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공유기와 연결된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서만 접속이 가능하며 다만 외부 접속이 안된다는 점이 있긴 하지만 ipTIME 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DDNS 를 설정하면 됩니다.
DDNS 는 Domain Name system 의 약자로 네이버라면 도메인 www.naver.com 및 naver.com URL 주소를 입력해야 되지만 사실은 ip 주소로 접속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공유기도 마찬가지로 외부 접속 ip 가 아무리 바뀌어도 DDNS 설정한 도메인을 통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DDNS 설정 – 외부 접속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이 어려워 잘 모를 수도 있지만 지금부터 ipTIME 공유기 DDNS 설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대로 따라 하시면 이해되실 수 있습니다.
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192.168.0.1)로 접속하여 관리자 계정 로그인 후 톱니바퀴 아이콘 관리도구 메뉴를 선택합니다.
ipTIME 관리자 메뉴탐색기 중 고급 설정->특수기능->DDNS 설정 메뉴를 선택합니다.
DDNS 설정에서 호스트 이름과 사용자 ID 를 입력합니다.
호스트 이름 : 도메인 입력 (예를 들어 test 라고 입력하면 test.iptime.org 로 설정)
사용자 ID : 이메일 주소
그러면 입력한 호스트 이름이 등록되면서 접속 상태는 정상 등록이라고 표시됩니다. 만약 정상 등록이 안되면 다른 호스트 이름을 입력해보세요.
외부 접속 보안 설정을 위해 보안 기능->공유기 접속/보안관리 메뉴를 선택합니다.
원격 관리 포트 사용 옵션을 선택하고 원격 관리 포트는 임의로 입력 후 적용 버튼을 누릅니다.
자 그러면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호스트 이름/원격 관리 포트를 입력하면 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가 접속됩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에서 사용할 일이 없을 수 있겠지만 외부에서 공유기를 제어해야 되는 경우 지금까지 알아본 것처럼 ipTIME DDNS 설정하면 외부 접속이 가능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