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을 잘 사용하던 와중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인해 언어형식 및 시스템 로캘 언어 설정 문제로 인해 한글이 깨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흔하게 Windows 운영체제 영문 버전에서 한글 버전으로 언어팩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깨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윈도우10 운영체제를 재설치하지 않아도 강제로 폰트를 교체하지 않은 이상 시스템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다시 설정하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한글깨짐 해결하기
원인이 다양하므로 시스템 언어 설정이 바뀌어 글자들이 깨지면서 보일 수 있어 제어판에서 시스템 언어를 바꾸면 간단히 해결될 수 있습니다.
제어판을 열기 위해 Win+R 키를 눌러 control 명령어를 입력한 후 엔터 및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제어판 접근을 쉽게 하기 위해 보기 기준을 큰 아이콘 및 작은 아이콘으로 설정하고 국가 또는 지역 메뉴를 선택합니다.
국가 또는 지역 창에서 형식을 한국어(대한민국)으로 선택합니다. 아마 웬만하면 여기는 대부분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관리자 옵션 탭을 선택하여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용 언어 항목에 시스템 로켈 변경 버튼을 눌러 한국어(대한민국)으로 선택합니다.
대부분 이렇게 하면 한글깨짐 증상이 해결됩니다만 해결이 안 되면 시스템 파일 문제일 수 있어 OS 재설치가 답일 수 있습니다.
덕분에 해결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