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4월 4, 2025
Home윈도우윈도우10 하드디스크 절전모드 끄기 딜레이 현상 해결

윈도우10 하드디스크 절전모드 끄기 딜레이 현상 해결

윈도우10 운영체제를 SSD 에 설치하고 하드디스크를 추가로 사용 시 하드디스크를 오래 사용하지 않으면 20분 후 절전모드(대기모드)로 들어갑니다. 그럼 들어가는 전력도 절약되는 장점이 있지만 다시 사용할 경우 딜레이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딜레이 과정에서 하드디스크 전력이 들어오고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지만 오히려 소음과 동시에 무리가 가므로 수명이 단축이 되는 등 악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절전모드 끄는 방법

하드디스크 사용 빈도가 낮으면 절전모드를 설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사용 빈도가 높을 경우 절전모드를 해제하면 몇 초간의 딜레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설정(Win+i)->시스템->전원 및 절전->관련 설정의 추가 전원 설정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럼 전원 옵션 창이 뜨는데요. 아마 대부분 기본 전원 관리 옵션에서 균형 조정(권장)으로 설정되어 있을 것입니다. 설정 변경 메뉴를 선택합니다.

변경할 전원 관리 옵션을 보면 PC 마다 설정이 다른 부분이지만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 메뉴를 선택합니다.

하드디스크 끄기 시간을 0 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하드디스크 절전모드 끄기

이렇게 하드디스크 절전모드를 끄셨다면 이제부터 딜레이 현상 없이 PC 자체 대기모드가 아니라면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Recent Posts

SNS Profile

95FansLike
6,047FollowersFollow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