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원드라이브(OneDrive) 클라우드는 윈도우10 에 내장되어 있어 MS계정으로 로그인시 원드라이브는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파일을 동기화하여 백업할 수 있습니다. 공동으로 사용 시에도 정말 유용하지만 동기화를 원치 않을 수 있습니다.
원드라이브 클라우드 기본 용량은 10GB 부터 시작하며 설정에 따라 바탕화면까지 동기화되어 어느 날 용량이 가득 찼다고 메시지가 뜰 수 있습니다.
용량을 더 늘려가며 사용하려면 원드라이브 요금제에 가입해야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여기서 완전히 사용을 중지할 것인지 고민이 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하기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를 통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지만 로컬 계정의 경우 비활성화되어 있어 원치 않으면 그냥 삭제해도 됩니다.
작업표시줄의 원드라이브(OneDrive) 아이콘을 선택하여 더보기 메뉴를 통해 동기화를 2시간, 8시간, 24시간 단위로 일시 중지시킬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일시 중지이기 때문에 완전히 사용중지 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다시 작업표시줄 원드라이브(OneDrive)을 선택하여 더 보기 메뉴를 통해 설정 메뉴를 선택합니다.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계정 탭이 먼저 열리는데요. 사용 중인 MS계정과 클라우드 저장소 용량이 표시됩니다. 이 PC 연결 해제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럼 이 PC에서 계정 연결을 해제하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계정 연결 해제 버튼을 누르면 동기화가 중지됩니다.
하지만 온라인 전용 파일은 제거될 수 있다고 하니 혹시 모르니 중요한 자료는 백업해 두는 것도 좋겠습니다.
Windows 설정(Win+i)->앱->앱 및 기능에서 Microsoft OneDrive 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원드라이브는 윈도우10의 큰 장점일 수 있지만 오히려 불편한 사람은 동기화를 비활성화하거나 완전히 제거하면 되겠습니다.
다시 설치하면 자동 로그인되네요.
욕이 섞여 있어 댓글을 수정해드렸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정책이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사용자 불편을 잘 헤아려 줬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