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윈도우10 설치 마무리 과정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그간 Windows 업데이트되면서 이제는 거의 반강제적으로 로컬 계정이 아닌 MS계정을 만들어 로그인하는 쪽으로 유도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많은 사용자들이 불만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윈도우10 설치 후 다시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하지만 이젠 이럴 필요 없이 언젠간 또 바뀔 수 있지만 인터넷만 연결만 하지 않으면 됩니다.
윈도우10 설치 로컬 계정 만들기
PC 환경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윈도우10 홈 기준으로 설치 마무리 시 가장 골치 아픈 부분인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C에서 유선랜이 연결되어 있으면 과감하게 바로 랜 케이블을 빼고 윈도우10 설치를 진행합니다.
랜 케이블을 뺀 상태에서 윈도우10 설치 마무리 과정 중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서 하단에 왼쪽에 인터넷이 없음 메뉴를 선택합니다.
혹시 무선 랜의 경우 무선 인터넷 와이파이에 로그인 접속하지 않습니다. 이미 와이파이에 접속했을 경우 다시 Windows를 재설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도 MS계정을 만들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다 무시하시고 제한된 설치로 계속 메뉴를 선택합니다.
자 그러면 우리가 원하던 로컬 계정을 만드는 단계가 나옵니다. 사용자 이름을 영문으로 입력 후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한글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비밀번호의 경우 선택사항이지만 그냥 다음 버튼을 누르면 바로 건너뜁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은 넘기고 이후를 살펴봤습니다. 부디 MS가 반강제적으로 MS계정을 만들도록 유도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갈수록 쓰레기로 변해가는 MS.
그냥 운영체계나 만들어서 팔지 빅데이터
모아서 뭐좀 해볼려고 하는게 눈에 보이네요
MS윈도우뿐만 아니라 요즘 우리가 이용하는 웬만한 서비스들은 개인 정보 수집에 동의하면서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거 같습니다.
윈도우가 자선사업은 아니니 이해는 한다만 좀 번잡스럽네
네 좀 번잡스러운 건 사실인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