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접속하여 네이버, 다음, 구글 등 웹 사이트에 접속하려면 숫자 IP 주소 대신 도메인 URL 을 입력하여 들어갑니다. DNS 서버가 있어서 가능한 일인데요. 숫자 주소를 문자로 바꿔주니 인터넷을 편리하고 쉽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DNS 서버는 여러 개가 있습니다. 보통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DNS 서버를 사용합니다. 저는 KT 에서 제공하는 DNS 서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DNS 서버 상태가 안 좋을 경우 인터넷이 느릴 수 있고 특정 사이트 접속이 안된다는 이야기도 있고 DNS 서버를 변경하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구글 DNS 서버 변경하기
공유기에서도 DNS 서버를 변경할 수 있으나 전체 네트워크가 적용되기 때문에 윈도우10 PC 에서 수동으로 DNS 서버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작업표시줄 인터넷 어댑터 아이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열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고급 네트워크 설정 항목 중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메뉴를 선택합니다. 어댑터 옵션 변경 메뉴를 선택해도 되지만 조금 더 쉽게 접근하겠습니다.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이 열리면 이더넷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이더넷 상태 창이 열리면 속성 버튼을 누릅니다.
이더넷 속성 창에서 이 연결에 다음 항목 사용 목록 중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TCP/IPv4) 옵션을 선택하여 속성 버튼을 누릅니다.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옵션을 선택하여 구글 DNS 서버 주소로 변경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기본 설정 DNS 서버 : 8.8.8.8
보조 DNS 서버 : 8.8.4.4
그럼 이렇게 구글 DNS 서버 주소로 변경이 완료되었습니다. 평소에 인터넷이 느리면 보다 더 빠른 속도가 체감이 가능할 것이며 그 외에는 네트워크 장비 문제가 되겠습니다.